thumbnail
카테고리

시공 관련 이해

중성선

Caution 시공은 전기관련 전문기술이 필요하므로, 전기기사 또는 기능사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이 설치하여야 합니다. - 일반 가정집의 스위치 배선: 차단기에서 나온 활선이 스위치, 전등을 지나 다시 차단기로 연결되는 구조로, 중성선이 없는 구조 - 중성선은 땅과 연결 접지되어 있는 구조로 이해하면 좋다. 하지만 중성선 자체가 바닥에 접지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중성선의 끝부분이 접지선과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. - 중성선 시공이 된 경우 배선, 전등을 통과한 지점에서 스위치로 새로운 배선을 추가 - 중성선 스위치의 장점 - 스위치를 끈 상태에서도 전원공급이 가능, 스위치에 전원이 차단되지 않아 안정성 측면에서 장점 - 기존의 2선식 스위치에 비해 더 높은 용량의 조명(부하) 연결 사용 가능 - 디밍, CCT 제어 조명의 경우 드라이버 연결이 필수이다. 드라이버의 경우 상시 전원이 필요하여 IoT 조명 사용의 경우 중성선 스위치 사용을 권장 --- - 중성선 포함 아카라 제품

분전반

Caution 시공은 전기관련 전문기술이 필요하므로, 전기기사 또는 기능사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이 설치하여야 합니다. - 24V 조명 제품 사용시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배선 - ’LED 스트립 드라이버’의 24V 출력인 점을 생각하여 시공시 조명이 해당 드라이버와 연결될 수 있게 전선 작업 필요 - 24V 조명 제품 사용시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배선 - ‘SMPS + LED 드라이버’ 분전반에 설치 -> 추후 관리 용이 - 천장에 DC 24V 배선 - ’T1 Pro’의 경우 분전반에 설치 하지 않고 적절히 분배하여 Zigbee Mesh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 유리 - 일반적인 SMPS가 필요한 구조 - 220V가 아닌 정격전압(24V)을 요구하는 장치(LED스트립)을 사용할 경우 - SMPS를 분전반에 모아 작업할 시 예상 기대 효과 - 유지보수(불량 교체, 이사시 제품 수거)에 용이하다 - 네크워크 안정성 상승 유의점 - 분전반과 LED 스트립 사이 거리가 멀어질 시 전압 강

다운라이트 시공

📚 무엇을 배우나요? 부착형 디바이스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배웁니다. ✅ 이런 분들이 들으시면 좋아요. 모션 센서, 스위치 등 부착형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으나 설치 방법을 모르시는 분 🧩 다 들으면 이런걸 할 수 있어요. 제품 설치에 대한 이해가 높아집니다. 다운라이트 시공 전 확인 사항 - 천장고 - 한국의 천장고는 낮은편으로 사용하려는 조명 제품이 천장에 들어 갈 수 있는지 확인 필요(천장고가 낮아 공사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.) - COB 다운라이트 적용시 천장 내 약 10cm 여유 공간 필요 - 필요시 단내림 공사 추가 진행 - 배선 상태 - AC 또는 DC 배선 점프 / 구성이 가능한가 - 타공 치수 - 제품마다 요구하는 타공 사이즈 확인이 필요 --- 사용할 다운라이트(제품) 선택 - SMD & COB 종류에 따른 선택 - SMD의 경우 PCB에 여러개의 LED를 낱개로 배치하여 불을 켜는 방식 - COB의 경우 여러개의 칩을 1개의 보드위에 묶음 형태로 밀집하여 배

스위치 박스

시공 단계에서 벽에 스위치를 설치 할 수 있도록 사전 작업을 하기위해선 ‘스위치 박스’ 제품이 필요합니다. 하지만 제품별로 스위치 박스의 크기가 다른 점을 꼭 유의하고 설계, 설치 시 꼭 고려해야 합니다. 스위치(박스)는 어떤 규격이 있고 어떤 과정으로 설치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스위치 박스 유형 - Korea Standard(KS)의 스위치 박스(US와 동일) - 미국, US 규격과 동일 - 한국 아파트나 주택에서 기존에 가장 많이 사용된 규격 - 스마트 조명 스위치 T1 (중성선 불필요) 제품과 호환 - 86 스위치 박스 - 직사각형 모양의 스위치 박스 - 86*86mm 크기로 86스위치박스로 주로 명칭 - 스마트 조명 스위치 H1 제품과 호환 --- 스위치 박스 시공 - 스위치 박스 시공의 핵심 - 스위치 박스 설치의 경우 콘크리트, 도배 전 단계에 완료되는 단계 - 설치를 위해선 도배를 까고 콘크리트를 파내는 일명 까대기 작업이 필요할 수 있음 - 일반적으로 인테리어가 시작되

SmartThings 앱에서 시공시 확인 사항

시공 현장 방문 전 확인 사항 - 현장 Wi-Fi 정보(id,pw) - 현장 관리자의 삼성 계정 정보(id,pw) - 사전 기기 페어링 작업이 필요한가? - 사전 자동화 제작이 필요한가? - 현장 관리자에게 안내가 필요한 부분 - 관리자님의 계정으로 접속시 인증 무자가 전송되는데 확인 필요 - 허브 전원은 상시로 연결된 환경이어야 함 - 배터리가 떨어질 시 교체 방법 - 각 공간별 제품이 설치될 위치 --- 시공 전 준비 진행 - iOS 휴대폰 이용, 고객 삼성 계정 정보로 SmartThings 앱 로그인 (로그인시 인증 문자 확인 필요) - 현장 Wifi 정보와 동일한 핫스팟 생성 - 해당 핫스팟에 허브, 하위 장치 연결 - 각 공간별 기기 구별을 위해 장치 이름 설정, 라벨 작업 진행 - 자동화 제작(이름 설정, 라벨 작업 진행) --- 시공 진행 - 허브 설치 (설정한 공간) - 현장 Wifi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 - 하위 제품 설치 - 자동화 작동 테스트 → 하

아카라홈 앱에서 시공시 확인 사항

아카라 홈 앱으로 시공 전 확인해야 할 사항 - 고객측에 확인해야할 사항 - 현장 Wifi 정보(Wifi 네트워크 이름, 비밀번호) - 고객이 사용하는 아카라 홈 앱의 계정 정보(ID, PW) - 현장 규모에 따라 시공자가 확인하고 준비해야 할 사항 - 사전 기기 페어링 작업 - 사전 자동화 생성 작업 - 시공자가 고객(또는 현장 관리자)에게 전달해야 할 사항 - 허브 전원은 상시로 연결되어야 함 - 배터리가 떨어질시 유지보수 방법 - 각 공간별 제품이 설치될 위치 --- 시공 진행 - 허브 설치 (설정한 공간) - 현장 Wifi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 - 하위 제품 설치 - 자동화 작동 테스트 → 하위 센서 위치, 자동화 설정 변경